48-37, Heyrimaeul-gil, Tanhyeon-myeon, Paju-si, Gyeonggi-do, Korea/ +82 31 949 3272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 마을길 48-37
T. 031-949-3272 / moagallery@gmail.com/ moagallery@naver.com / www.gallerymoa.com

"기하학 너머_Beyond Geometry"
MiSang Kim_Architectural Critic
건축가의 주된 작업 대상은 건축물이다. 그러나 건축가의 일상 작업 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스케치와 드로잉이다. 회화분야는 사실적인 묘사, 충실한 모사(模寫)로부터 출발이 되고, 완성의 전제, 그리고 타인과의 공유와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하는 반면, 건축가의 드로잉은 완성도 높은 사실적인 모사나 묘사화보다는 창작 과정의 하나로서 개괄적이고 추상적이자 구체적이며 사실적인 디테일에 촞점을 맞추는 등 다양한 양상을 지니며 건축가의 개인적 영역에 머물곤 한다. 건축가들이 드로잉전을 여는 것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벗어나 본연의 작업을 잠시 접는 것이자 잠재된 예술적 끼를 작업에 투사함으로써 대중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
이 드로잉전에 참여하는 각 건축가는 제작기 다양한 성향과 스타일을 보여준다. 네모꼴 덕분에 잘 살아 온 건축가들이 기하학 너머(Beyond Geometry)라는 주제를 택함은 기하학, 격자 등 기본적인 방식, 즉 작업 프로세스에서 필수적, 암묵적으로 인정되고 채용되던 공유의 영역조차도 가능한 한 최소화하고, 유기적인 선과 구성 등 표현의 무한한 가능성, 그리고 새로운 문화와 철학적 태도에 문을 열고자 하는 제스츄어이다. 그에 더해 이번 전시는 건축적인 사고와 표현을 떠나 본디 지니고 있던 자유주의적이고 개인적인 예술적 성향을 마음껏 분출시키고 승화시키고자 하는 근원적 욕구를 엿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작품은 작가들이 고유하게 전개하던 건축활동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사회, 문화, 건축과 도시적 상념, 이상을 그려내어 표현되기도 하지만, 건축을 떠난 순수한 개념미술의 영역에까지 이르기도 하며 성격상 고전적, 합리주의적인 드로잉은 물론, 표현주의적, 초현실적인 작품, 해체주의적, 카툰(cartoon)적인 작품, 그리고 양식이나 경향을 구분하여 명명하기 힘든 작품이 등장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기하학 너머에는 10인의 국내 작가뿐만 아니라 5인의 국내외 거주 외국작가들도 참여한다. 한정된 경계, 규정된 땅을 너머 여러 국가, 총 15명의 건축가들이 참여함은 땅재기(earth-measuring : geo + metria), 그리고 그것을 통한 공간의 한정뿐만 아니라 확장하고 여는 것에 익숙한 건축가들에게 그리 낯선 태도는 아니다. 미국, 스페인과 호주 등으로 참여국의 경계를 넓히고 있어 새로운 스케일의 문화적 지형도가 그려지고 다양한 문화적 전통과 시각이 표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target of architect’s main task is the building. But what takes the most part of architect’s daily work is the drawing and sketch. While the painting starts from realistic description and faithful reproduction, set forth completion as a prerequisite, and aims to communicate and share with the others, architect’s drawing is considered as a process of creation and it usually stays a recapitulative and conceptual sketch or a concrete and realistic detail drawing remaining in private area of an architect and his entourages. Architects hold the drawing exhibition Beyond Geometry in order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by projecting their potential artistic talent while putting architects’ proper tasks aside and away from the process.
Each and every architect participating in the drawing exhibition shows various tendencies and styles. Choosing Beyond Geometry as a subject for the architects, who shall thank the quadrilateral, is a gesture to open new philosophical and artistic view, and to find infinite possibilities in free-organic lines and compositions, while minimizing the use of lattice and geometric formulae that are tacitly approved and adopted as basic and indispensable in architectural design. In addition, this exhibition reflects the original desire to express personal artistic predisposition free from the architectural thinking and expression. Anyway, some works are, still yet, closely related to architect’s intrinsic architectural activities, which reveals the socio-cultural thoughts and ideal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Some others, of course, reach out to pure conceptual art. And these drawings show diverse characteristics such as classical, rationalistic, expressionistic, surrealistic, deconstructive, cartoonish, and even indefinable styles.
Ten korean and five foreign architects are participating in Beyond Geometry. Extending and interconnecting their activities beyond spatial or geographical boundaries and confinements are, conceptually, not unfamiliar for the architects whose job consists of setting, limiting, developing, expanding, and opening spaces outwards through earth-land measuring, the ‘geo-metria(γεω-μετρία).’ It is expected that various cultural traditions and perspectives from different lands of three continents could be expressed and a topographical map of cultures in new scale could be drawn through the exhibition due to its multinational participants from Australia, Spain and the U.S. etc.


anthrozoomorpharchitettura _트레이싱지.잉크.색연필.콘테.목탄_: 110X110cm_2012


"Beyond Geometry/기하학 너머"_ Architects Drawing Exhibition 2012
April 6 - May 9, 2012.
Participating Architects :
김미상/Kim Misang. 김인철/Kim Incheurl. 문훈/Moon Hoon
박준호/Park Joonho. 박태홍/Park Taehong. 방철린/Bang Chullin
백문기/Back Moonki. 우경국/Woo Kyung Kook. 전인호/Jun Inho
María Fullaondo(SP) Ciro Márquez(SP) Eric Reeder(USA)
Peter Farman(AU). Santiago Porras Álvarez(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