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48-37, Heyrimaeul-gil, Tanhyeon-myeon, Paju-si, Gyeonggi-do, Korea/  +82 31 949 3272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 마을길 48-37  

                     T. 031-949-3272 / moagallery@gmail.com/  moagallery@naver.comwww.gallerymoa.com

 

"Dialogue_대화"

 

Yangho Lee

Director, Gallery MOA 

 

 

김아영의 그림은 자연이 주는 신비감이나 장엄함과는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누구나 일상속에서 쉽게 접하면서도 현상에 대한 인식조차 없이 지나처 버리는 소박한 풍경을 그는 사랑하며 현장에서 직접 스케치하면서 완성 시키는 독특한 작가이다.

 

인간에게 일상성이란 그 자체가 삶인 동시에 존재의미가 있듯이, 그의 예술은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삶의 주변에 펼처져 있는 풀꽃 같은 자연을 최고의 가치로 승화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옆집 마당에 있는 꽃, 앞 산에 있는 밭 과 논, 다래넝쿨등, 이름없는 풍경을 그는 최고의 진경산수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이태호

 

 

그저 '함께 살아가는 것들'과 진경정신

 

김아영은 산수화가이다. 이 말은 김아영이 인물을 그렸다 해도 그것은 산수화적 태도로 그려질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의 산수에서 가장 먼저 드러나는 특징은 그 소재에 있다. 그가 그리는 소재는 지극히 평범한 주변 것들이다.

 

그것이 너무나 평범한 주변 풍경이어서 때로 당황할 지경이다. 그가 그리는 산수는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는 ‘그림같은 그림’들과 달리, 자연의 놀라운 순간이나, 오묘한 이치, 신비한 깊이와 공간감, 장엄함 등과 거리가 멀다. 그래서 그의 산수에는 관람자를 압도하는 산과 계곡, 수려한 구릉과 절벽, 영험이 깃든 듯한 바위, 전경과 후경을 시원하게 넓혀주는 안개, 과장된 감정을 허하는 폭포... 등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니 풍경의 장엄함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일엽편주도 없고, 삿갓 쓴 뱃사공도 찾을 수 없다.

 

그의 산수는 문밖을 나서는 순간 마주치는 그런 지천(至賤)에 깔린 자연이다. 그것은 <경진네 마당에서>본 잡목 숲이고, 열매 수확이 끝난 <포도나무>이며, <대룡산> 같은 춘천 주위의, <얼어가는 논>과 <산개울> 같은 이름 없는 주변풍경이다.

 

그것들은 더 정확히 말하면 작가의 눈과 ‘마주치는 것’이라기보다, 그저 작가와 ‘함께 살아가는 것들’이다. 그는 자연을 경탄의 대상으로 멀리두고 있지 않다. 또한 그는 자신이 묘사한 산수를 통해 관객을 흥분시키려 하지 않는다. 그런 견지에서 보면 작가는 ‘고전’도, ‘낭만’도 떠난, 단호한 리얼리스트이다. 참으로 실경을 그리는 작가인 것이다.

 

이처럼 특별함이 없는 ‘것들’이 화가에 의해 하나의 예술로 도약한다. 그것을 예술이 되게 하는 것은 화가의 필력이다. 나는 김아영을 필력에 있어 독보적 위치를 가진 화가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놀랍도록 빠르고 정확하고 적절하다. 나는 우연히 세계 정상을 다투는 여자 탁구선수의 경기를 감탄 속에서 지켜 본 일이 있었는데, 김아영 작품의 그 붓놀림은 그 탁구선수의 놀라운 몸놀림을 연상케 했다.

 

김아영의 작품은 거의 전부가 야외에서 실경을 눈앞에 두고 그려진다. 그 점 작업실에서 인공 조명과 조건 속에서 작업하는 작가와 다르다. 이러한 그의 작업은 나에게 자연스레 서구의 인상주의작가들을 떠올리게 한다. 클로드 모네와 같은 작가야말로 참으로 실경화가였다. 이른바 ‘외광파’라 불리운 모네 같은 이들은 작업방식도 그러했지만, 태도에 있어서도 당대의 주류 미술이었던 신고전주의작가들과 현저히 달랐다. 인상주의 작품들은 신고전주의의 작품에 비해 우선 그림이 작아졌다. 왜냐하면 들고다니기 편리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야외에서 그릴 때에는 현장의 조건에 적응해야 하며, 될 수록 현장에서 그림을 마무리하고자 했으므로 빠른 붓사용은 필수였다.

 

신고전주의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영광을 회상하며 그것을 되살리려 했다. 그러나 인상주의는 꿈의 세계가 아닌 ‘지금’ ‘이곳’을 그리려 했다. 이번에 전시된 김아영의 작업과 그 태도가 내게 인상주의를 일깨우는 것은 위와 같은 공통점 때문이다. 여행 중 그린 것은 작은 것들이었다. 그것들은 빠르고 정확한 필력 없인 시작도 할 수 없는 것이기도 했다. 하지만 작가가 사는 곳에서 그렸든, 낯선 타지에서 그렸든, 거기에는 일관된 태도가 있다. 그것은 다름아닌 꾸밈없는 태도-진실성이라는 것이다.

 

그에게는 쉬 흥분하지 않는 선비적 자세라 할까, 아니면 차가운 과학자적 태도라 할까, 같은 것이 있다. 그의 그림이 우리에게 주는 감동은 소재의 특별함과 흔치 않음이 아니라, 우리가 무심히 무시했던 것들을 다시 상대하게 하는 데 있고, 잊고 있었던 그것의 그 놀라운 진실함을 일깨우는 데 있다.

 

 

 

 

 

 

 

 

 

 

"Dialogue"_ AhYoung Kim

  April 18 - May 21, 2009.

bottom of page